OS
-
5. 교착상태(Deadlock)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2022. 3. 21. 18:03
교착 상태 일련의 프로세스들이 각자가 가진 자원은 점유하고 상대방의 자원을 기다리면서 각 프로세스가 아무 작업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여기서의 자원은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데 가령, I/O 장치, CPU cycle, 메모리 공간과 같은 것이다. 교착상태 발생의 4가지 조건 - 상호 배제 : 매 순간 하나의 프로세스만이 자원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 비선점 : 프로세스는 자원을 스스로 내어놓지만 강제로 빼앗기지는 않아야 한다. - 점유와 대기 : 자원을 가진 프로세스가 다른 자원을 기다릴 때 보유하고 있는 자원은 놓지 않고 계속 갖고 있다. - 원형 대기 : 자원을 기다리는 프로세스 간 사이클이 형성되어야 한다. 교착상태 처리 방법 - 교착상태 예방(Prevention) 자원할당..
-
1. 운영체제와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2022. 2. 21. 13:56
운영체제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써, 부팅 시 메모리에 가장 처음 적재된다. 운영체제는 아래와 같이 GUI, 시스템 호출, 커널,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적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원 보호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 효율적인 자원 관리 여기서 언급되는 효율성이란 주어진 하드웨어 자원으로 최대한의 성능을 낸다는 점이며, 특정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지나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평성의 문제도 해결해준다. 현대의 일반적인 처리 방식인 시분할 시스템으로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각각 일정 시간 CPU를 번갈아 할당해줌으로써 적절히 분배하여 공평하게 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