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
2. 프로세스 관리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2022. 2. 28. 02:41
하드디스크와 같은 파일 시스템에 있는 프로그램이 먼저 프로세스가 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본 후 프로세스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을 확인해보려 한다. 프로그램 실행 -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실행 파일을 실행시키면 메모리에 적재되어 프로세스가 된다. - 메모리에 적재되기 이전에 실행 파일마다 개별적인 가상 메모리가 존재하며 필요한 페이지만 물리적 메모리에 적재되며, 올라가지 않은 페이지는 스왑 영역에 올라간다. 이때, 각 프로세스별 가상 메모리는 0번지부터 시작하고 실제 물리 메모리에 쌓이는 주소와는 다른데, 가상 메모리의 논리적 주소에서 물리 주소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친다. 스왑 영역이란 쫓겨난 프로세스가 저장장치의 특별한 공간을 모아두는데 이러한 영역을 의미하며, 스왑 영역에서 메모리로 데이터를 가져오..
-
1. 운영체제와 컴퓨터 시스템의 구조Computer Science/Operating System 2022. 2. 21. 13:56
운영체제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과 하드웨어 사이에서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써, 부팅 시 메모리에 가장 처음 적재된다. 운영체제는 아래와 같이 GUI, 시스템 호출, 커널, 드라이버로 구성되어 있으며 목적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자원 보호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 효율적인 자원 관리 여기서 언급되는 효율성이란 주어진 하드웨어 자원으로 최대한의 성능을 낸다는 점이며, 특정 사용자 및 응용 프로그램에 대해 지나친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평성의 문제도 해결해준다. 현대의 일반적인 처리 방식인 시분할 시스템으로 실행중인 프로세스에 각각 일정 시간 CPU를 번갈아 할당해줌으로써 적절히 분배하여 공평하게 쓸 수 있다...